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4

좇다 쫓다 뜻 차이 구분 일반적으로 무언가를 급하게 따르거나 따라갈 때 '쫒다'라는 표현을 사용하곤 합니다. 그런가 하면 소설이나 시 등에서 '좇다'라는 표현을 마주할 때도 있죠. 좇다와 쫓다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올바른 맞춤법 표현은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좇다'와 '쫓다'의 뜻을 살펴 차이점을 알아보고, 예문까지 살펴보겠습니다.  1. 좇다 VS 쫓다좇다1. 목표, 이상, 행복 등을 추구하다2. 규칙이나 관습을 지켜서 따르다.3. 다른 사람의 말을 따르다 위에서 알 수 있듯, 관념적인 것 또는 무형의 것을 따를 때는 주로 '좇다'라는 동사를 사용합니다. 행복이나 명예 등이 그렇죠. 또한, 부모님의 유언이나 선생님의 의견 등 다른 사람의 말을 따를 때에도 '따르다'라는 의미로 '좇다'를 사용하게 됩니다. 어떠한 생각이.. 2024. 8. 26.
각출 갹출 차이 및 올바른 맞춤법 알아보기 만 원씩 각출하자만 원씩 갹출하자?  어떤 그룹에서 돈을 걷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우리는 흔히 '각출'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곤 합니다. 일정 금액을 여럿이 나누어 내는 상황에서 사용하게 되는데요.이때, '각출'이 아닌, '갹출'이라는 단어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각출'과 '갹출'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1. 각출 갹출 뜻 먼저 흔히 알고 있는 '각출'의 사전적 정의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각출각각 내놓음. 위와 같이 각각 금액을 내는 것을 '각출'이라고 하는데요.그렇다면 '갹출'은 무슨 뜻일까요? 갹출같은 목적을 위해 여러 사람이 돈을 나누어 냄 어떠한 목적을 위해 여러 사람이 나누어 내는 것을 '갹출'이라고 하는데요.마찬가지로 '갹출하다'와 같은 동사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또한 '갹출'의 경.. 2024. 7. 6.
곁땀 겨땀 올바른 표준어 표기 및 액한 뜻 곁땀이 너무 많이 나요...겨땀이 너무 많이 나요...? 더운 날씨에 속수무책으로 눈물을 흘리는 우리의 겨드랑이...겨드랑이의 눈물, '겨드랑이 부위에서 나는 땀'을 뭐라고 부르면 좋을까요?'겨드랑이 땀'을 줄인 '겨땀'이 맞을까요, '곁땀'이 맞을까요?  1. 곁땀 VS 겨땀 '겨드랑이'라는 단어의 첫 글자를 따서 '겨땀'이 올바른 표준어인 것으로 착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포털 사이트에 '겨땀'으로 검색하면, '겨땀패드, 겨땀패치' 등의 다양한 상품이 나오는 결과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많은 사람들이 해당 단어를 표준어로 인식하여 검색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상품이 상위노출되는 것으로 볼 수 있어요. 하지만, 오늘부터는 '겨땀'이 아닌, '곁땀'이 표준어임을 의식하고 사용해 주시면 좋겠습니다.바로, '.. 2024. 7. 5.
지그시 지긋이 뜻 차이 및 올바른 맞춤법 알아보기 지그시 바라보았다.지긋이 나이가 들었다.우리말 부사 '지그시'와 '지긋이'의 차이에 대해 아시나요?소리가 비슷하여 정확히 구분하지 못하고 사용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각각 어떤 상황에 사용되는지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됩니다. 본문을 통해 '지그시'와 '지긋이'의 뜻을 알아보고, 두 단어의 차이 및 올바른 맞춤법 표현을 알아보겠습니다.   1. 지그시, 지긋이 뜻 및 예문 '지그시', '지긋이'는 모두 올바른 맞춤법 표기이며, 다른 뜻을 지닌 표준어입니다.따라서, 각각의 뜻을 숙지하고, 어떤 올바른 상황에 알맞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1) 지그시 '지그시'는 어떤 것을 참고 견디거나, 살짝 힘을 가하는 상황에 사용되는 부사입니다.① 슬며시 힘을 주는 모양② 조용히 .. 2024. 7. 2.
거스러미 까시래기 뜻 어원 및 올바른 맞춤법 알아보기 손 거스러미가 신경 쓰여.손 까시래기가 신경 쓰여.  우리는 손톱이나 발톱 주변의 살갗이 일어난 것을 '거스러미'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이 '거스러미'는 어디에서 온 표현일까요? 또, '까시래기'라는 표현도 있던데 '거스러미'와는 다른 표현일까요? 오늘은 거스러미의 뜻과 어원, 그리고 올바른 표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거스러미 뜻, 어원 먼저 거스러미의 뜻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거스러미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거스러미손발톱 뒤의 살 껍질이나 나무의 결 따위가 얇게 터져 일어난 부분손거스러미손톱이 박힌 자리 주변에 살갗이 일어난 것. 위 내용을 통해, 살갗이 일어난 것을 '거스러미'라고 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주로 '손'과 결합한 형태인, '손거스러미'라는 명사로 사.. 2024. 6. 27.
겸연쩍다 겸연적다 계면적다 대체 뭐가 맞아요? 우리는 흔히 쑥스러워 어색한 상황에 '겸연쩍다'라는 표현을 사용하곤 합니다. 그런데 이 '겸연쩍다'라는 표현이 과연 올바른 맞춤법일까요? 오늘은 어떻게 적는 것이 옳은 표기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겸연쩍다 뜻 우선 맞춤법 표기를 살펴보기에 앞서, 뜻을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겸연쩍다쑥스럽거나 미안하여 어색하다. 겸연쩍다는 구어체보다는 문어체에서 더 자주 사용되는 느낌이 있는데요. '겸연쩍다는 듯 웃었다' 또는 '칭찬을 받는 것도 겸연쩍다'와 같은 문장에서 사용되곤 합니다.  2. 겸연쩍다 VS 겸연적다 VS 계면쩍다 위 세 단어 중 올바른 맞춤법 표기는 무엇일까요? 정답은 '겸연쩍다'와 '계면쩍다'입니다. '겸연쩍다' 및 '계면쩍다'는 쑥스러운 상황에 사용할 수 있는 올바른 표현이지만.. 2024. 6.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