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 정보19

한갓지다 단어의 뜻은 무엇일까? '한갓되다'와의 차이는? 여러분 혹시 '한갓지다'라는 단어 들어보셨나요? 박완서 작가의 '너무도 쓸쓸한 당신'이라는 작품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오는데요. 이처럼 소설에도 등장하는 '한갓지다'라는 단어의 뜻을 알아보고 비슷하게 생긴 '한갓되다'와의 차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음들이 한갓지지 않아 신혼여행은 미국 가는 길에 하와이에 들러서 며칠 쉬다 가는 걸로 대신하겠다고 저희끼리 합의하였다. - 박완서, 1. 한갓지다 뜻 '한갓지다'는 한가하고 조용한 것을 뜻합니다. 주로 한적한 마을에 이르러 감상을 이야기할 때 '한갓지다'라고 하게 되는데요. 단순히 외부 환경에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우리의 내면의 상황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음이 한가하고 고요한 것을 '한갓지다'로 표현할 수도 있는 것이죠. 예문.. 2022. 11. 6.
톺아보기 뜻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오늘은 '톺아보기'라는 단어의 뜻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말에는 '톺아보기'라는 단어가 있는데요. 혹시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아마 들어보셨기 때문에 이 글을 읽고 계실 것으로 생각되긴 하지만요. 1. 톺아보다, 톺아보기 뜻 톺아보다 샅샅이 톺아 나가면서 살피다. '톺아보기'는 '톺아보다'에 명사형 어미 '-기'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명사입니다. 따라서, '톺아보다'의 뜻을 살펴보면, '톺아보기'의 뜻을 유추할 수 있는데요. '톺아보다'는 '샅샅이 톺아 나가면서 살피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어떤 것을 차근차근 하나씩 살피면서 나아가는 것을 '톺아보기'라는 단어로 표현하게 됩니다. 2. 톺아보기 예문 그렇다면, '톺아보기'는 어떤 상황에서 주로 사용될까요? 예문을 통해 뜻을 체감해 보도록 .. 2022. 10. 18.
그라이스 대화의 원리, 대화의 격률이란? 대화를 잘하고 싶다면 주목! 효과적인 대화 기법 언어학자인 폴 그라이스(Herbert Paul Grice)는 대화를 잘하기 위해서는 네 가지 격률을 잘 지켜야 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그라이스는 1960년대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하기도 하였으며, '함축'이라는 개념을 제시함으로써 언어의 '의미론'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낸 인물입니다. 오늘은 그라이스 대화의 원리 즉, 대화의 격률 네 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 평소 대화에 어려움을 겪거나, 대화를 더 잘하고 싶다면 아래의 네 가지를 지켜보세요. 1. 양의 격률 먼저 첫 번째로 살펴볼 격률은 '양의 격률'입니다. 우리 뇌가 한번에 저장할 수 있는 양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필요한 만큼의 정보만 전달해야 한다는 것인데요. 대화에서 너무 많은 정보를 한번에 전달하면 상대방이 쉽게 피로를 느끼.. 2022. 10. 1.
지엽적 지엽적이다 무슨 뜻일까? 유의어 말초적 뜻까지 알아볼까요? 우리 일상생활에서 가끔 등장하는 단어, '지엽적, 지엽적이다, 지엽적인'. 대략적인 문맥으로 느낌만 파악하고 대충 넘어가는 분들도 있으셨을 텐데요. 지엽적 지엽적이다 정확히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지엽적 뜻과 사용 예문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지엽적 뜻 '지엽적'이라는 단어는 다음과 같은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1) 본질적이거나 중요하지 않고 부차적인 것. 2) 본질적이거나 중요하지 않고 부차적인. 즉, 본질과는 조금 거리가 있으면서도 아예 연관이 없지는 않은 것들을 뜻할 때 '지엽적이다'라고 합니다. 어떤 사건의 핵심은 아니지만, 부수적이거나 부차적인 것에 속하는 것들을 뜻하기도 합니다. 대략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엽'이라는 글자를 더욱 깊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 2022. 9. 28.
사흘은 3일일까 4일일까? 사흘 논란 및 뜻 정리 최근 여러 문해력 논란이 불거지고 있는데요. 2020년 8월에는 '사흘'이라는 명사가 논란의 대상이 된 적이 있습니다. 사흘이 3일인지 4일인지에 대한 논란이었는데요. 사흘은 3일일까요, 4일일까요? 오늘은 그 논란과 뜻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1. 사흘 논란 지난 2020년 8월, '사흘'이라는 명사가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 1위를 기록했는데요. 당시 8월 17일 월요일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하면서 3일 간의 연휴가 생겼는데, 이를 '사흘 간' 연휴가 생겼다고 표현했기 때문이에요. 연휴가 3일인데, 왜 4흘로 표현했냐는 볼멘소리가 터져 나온 것이죠. 이에 대해 상호 간 당황스러움을 감출 수 없었는데요. 사흘의 뜻을 알고 있는 분들은, 어떻게 사흘을 4일로 생각할 수 있냐는 반응이었고, 사흘을 4일로 .. 2022. 8. 27.
[순우리말] 다소니 뜻, 의미, 유래, 예문 알아보기 여러분, '다소니'라는 단어 아시나요? 카페나 식당 이름으로 단골로 등장하는 단어, '다소니' 과연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순우리말 다소니, 다솜의 뜻과 유래, 그리고 예문까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1. 다소니 뜻, 의미, 유래 다소니는 '사랑하는 사람'을 뜻합니다. 옛말로 '닷오다'가 '애틋하게 사랑하다'라는 동사로 사용되었는데, 이것이 현대에 오며 '다소니'로 변형되었다고 하네요. 국립국어원의 우리말샘에서 옛말에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추적해볼 수 있는데요. '닷오니'가 '사랑하는 이'로 번역되면서, 현대에 이르러 '다소니'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마찬가지로, '다솜'도 옛말 '닷오다'를 명사형으로 바뀌어 '닷옴'이 되었으며, 이것이 현대에 이르러 '다솜'으로 사용되며, '사랑 또는 애틋한 사.. 2022. 7. 23.